시사·사회-생각해보기

뉘우치며 써내려간 노랫말 ‘어메이징 그레이스’

irene777 2015. 8. 5. 04:42


<딸에게 들려주는 역사 이야기>


뉘우치며 써내려간 노랫말 ‘어메이징 그레이스’


- 시사IN  2015년 7월 18일 -




오바마 대통령이 부른 어메이징 그레이스(새찬송가 305장 ‘나 같은 죄인 살리신’)에는 

수많은 역사가 얽히고설켜 있다. 

2015년의 우리에게 필요한 노래이기도 하다. 

이 노래는 교회 안에서보다 밖에서 더 절실하다.



6월26일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백인 인종주의자의 무차별 총격에 희생된 흑인교회 성도들의 장례식에 참석했어. 그가 연설 도중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를 부르는 동영상을 보면서 아빠는 가슴이 뭉클해졌다. 그야말로 역사적 인물이 부르는 역사적 노래를 듣는 느낌이랄까. 오바마는 미국인들이 흔히 ‘하프(Half)라고 부르는 흑백 혼혈이지. 비(非)백인의 피가 조금이라도 섞이면 유색인종으로 분류해 차별 대상이 되던 미국에서 그는 존재 자체로 역사적인 사람이지. 그가 부른 ‘어메이징 그레이스’ 역시 수많은 역사가 얽히고설킨 노래란다.


이 노래는 존 뉴턴이라는 사람이 쓴 노랫말에 곡을 붙인 거야. 뉴턴은 열한 살 때부터 노예선을 탔고 급기야 노예선 선장이 돼서 수많은 노예를 실어 날랐다가 자신의 죄를 뉘우치면서 이 가사를 썼다고 해. 뉴턴은 한 자 한 자 써 내려갈 때마다 자신을 거쳐간 노예 수만명을 떠올렸을 거야. 짐짝처럼 노예선에 실려 아프리카가 멀어지면 황소같이 울부짖던 사람들, 옴짝달싹도 못할 만큼 빽빽이 실려 멀미에 신음하며 토사물과 배설물에 문드러져 죽어가던 사람들을. 그러면서 스스로를 돌아봤겠지.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주 은혜 놀라워. 잃었던 생명 찾았고 광명을 얻었네.”




▲ 6월26일 흑인교회 총기 난사 희생자의 장례식에 참석한 오바마 대통령이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불렀다.   ⓒAP Photo



  그렇게 실려간 흑인 노예의 수가 무려 1200만명에 달한다는 사실을 기억해보면 뉴턴이 가담한 노예무역은 실로 인류사적 범죄였어. 여생 내내 노예제도 철폐를 부르짖던 뉴턴은 성직자를 지망하는 유능한 젊은이에게 “당신이 가진 힘으로 불의와 싸우라”고 설득해 정치인의 길을 걷게 했는데, 이 사람이 바로 영국 노예제도 철폐의 주역 윌리엄 윌버포스란다. 그는 이렇게 외쳤어. “이 끔찍한 노예무역을 방치했다는 점에 대해서 영국 의회와 더불어 저 자신이 죄인임을 고백합니다. 우리 모두는 유죄를 인정해야만 합니다.”


노예무역은 막대한 이익을 낳는 거래이고 노예제도는 그 시대의 부(富)를 창출하는 원천이기에 수많은 사람이 고발했음에도 오래도록 존속했어. 영국은 뉴턴이 죽던 해(1807년) 노예무역을 폐지하고 윌버포스가 죽던 해(1833년)에는 노예제도 자체를 철폐했지만, 지구상 도처에는 인간이 인간을 태연히 노예로 부리는 죄악이 남아 있지. 존 뉴턴의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지금 우리가 부르는 찬송가의 멜로디와 만난 건 1830년대라고 여겨진다. 이 노래의 멜로디는 아일랜드나 스코틀랜드의 민요라는 설이 유력하지만 아메리카 인디언 채로키족의 가락이었다는 설도 전하지.


1838년 미국 정부는 채로키 인디언에게 터전을 떠나 수천 리 떨어진 오클라호마의 보호구역으로 갈 것을 명령했어. 채로키 부족 1만5000여 명은 살을 에는 겨울을 거치며 4000명이 쓰러져 죽어간 ‘눈물의 길’을 떠나야 했단다. 그 모습을 지켜본 미군 병사 존 버넷은 이렇게 회고해. “그날 아침의 비애와 엄숙함을 잊을 수 없다. 추장 존 로스의 기도가 끝나자 나팔이 울렸다. 마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일제히 일어서서 고사리손을 흔들며 낯익은 산과 집에 이별을 고했다. 그들은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채로키 인디언은 채로키 말로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부르며 죽어가는 이들을 끌어안고 서로를 일으키면서 서쪽으로 서쪽으로 나아갔다지.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이 노래는 죄인임을 고백하고 자신을 구원한 신을 찬양하는 원래의 뜻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게 되었어. 인간이 인간을 차별하는 죄악에 대항하고, 인간이 다른 인간을 열등하다고 규정하는 오만에 맞서는 사람들의 노래로, 가장 어둡고 암담한 순간 홀연 눈앞을 가르는 햇살 같은 노래로, 목마른 사람의 갈라진 혀를 적시는 냉수 같은 노래의 성격을 띠기도 하지.


백인 폭력배들이 불을 질러 잿더미가 된 흑인교회 앞에서 흑인들은 이 노래를 불렀고, 소방 호스를 맞고 경찰견에 물리면서도 ‘그 은혜 놀라워’ 목이 메어 노래했어. 마틴 루서 킹 목사가 수만 군중 앞에서 “나에게 꿈이 있습니다”라고 역사적인 연설을 하던 날에도 울려 퍼졌으며,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대의 앞머리에서 울렸고, 가깝게는 세월호 유족 앞에서 미국 대학 합창단이 불러 좌중을 울음바다로 만들었지. 이렇게 두고 보면 이 노래는 단순한 새찬송가 305장이 아닌, 좀 더 많은 자유와 더 넓은 평등을 위해, 생명을 위협하는 어둠의 세력에 맞서 싸워온 인류의 친구로 자리매김하지 않을까.



“우리는 노예가 아니다”라고 외치는 2015년


이제 그만 은퇴하시라는 주변의 청에 “아프리카의 무도한 신성모독자가 어찌 말을 멈출 수 있을까!”라고 소리칠 만큼 늙어서도 피가 뜨거웠던 존 뉴턴 목사. 그가 자신이 죽은 뒤 진행된 역사를 알았다면 수만 번 화를 냈을지도 모른다. 미국 내전 때 노예제도를 지키겠다고 총을 든 남부인이 이 노래를 부를 때에도 벌컥 책상을 쳤을 것이고, 채로키 인디언이 겪은 죽음의 행진을 보면서는 이 죄를 어찌 감당할 것이냐고 펄쩍 뛰었겠지. 오늘날 세상을 굽어보더라도, 젊은 시절의 자신을 빼닮은 이들이 열등하다고 규정된 자들의 등을 쳐 돈벌이 수단으로 삼는 꼬락서니 앞에서 “주여 저 죄인들을 어찌합니까” 두 팔을 벌릴지도 모를 일이다.




▲ 영화 <어메이징 그레이스>(2006)의 한 장면. 영화는 윌리엄 윌버포스의 젊은 시절을 다룬다.



  2015년의 우리는 그에게 어떻게 비칠까. 똑같이 아이들을 가르치고, 위기에 처한 배 안에서 똑같이 아이들을 향해 달려가서 구해내려 애쓰다가 함께 최후를 맞았는데, 한쪽은 ‘순직’이지만 한쪽은 ‘순직’이 될 수 없는 신분이라는 말이 버젓한 이 나라는. 똑같은 일을 하고 똑같은 밥을 먹는데 한쪽의 월급은 다른 쪽의 두 배를 넘는 게 너무도 당연한 이 나라는. 아무리 열심히 일하는 노동자라 해도 고용주의 이익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해고할 수 있어야 선진국이라는 이 사회는.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한 움직임에는 너무도 쉽게 불법의 딱지가 붙는 대한민국은 과연 존 뉴턴 보기에 아름다울까. 아니면 그가 젊은 날 활약했던 노예무역을 연상시킬까.


산 위에서 내려다보면 서울 시내는 붉은 십자가 천지고 휘황찬란한 대리석 교회에서는 허구한 날 “나 같은 죄인 살리신 그 은혜 놀라워” 하는 찬송이 울려 퍼져. 하지만 이 찬송이 가장 절실한 사람은 교회 안보다는 밖에 있을 것 같구나. 그중에서도 아빠는 자신의 권리와 생존을 위해 전국의 굴뚝과 옥상에 올라가서 추위와 더위, 태양과 비, 그리고 외로움과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을 떠올려보고 싶네. 이 글을 쓰는 동안 무려 407일간 굴뚝에 올라가 고공농성을 벌여온 스타케미칼이라는 회사의 해고 노동자 차광호 아저씨가 농성을 끝내고 땅을 밟는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407일. 1년을 훌쩍 넘는 시간을 굴뚝 위에서 먹고 자며 하늘과 땅 중간에 떠 있던 그 아저씨의 심경을 아빠는 짐작조차 할 수 없구나. 그리고 적잖이 고맙다. 언젠가 어떤 아저씨는 크레인 위에서 몇 달 지내다가 절망감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세상을 등진 적도 있거든.


왜 그들은 세상과 단절하다시피 그 꼭대기에 올라가야 했느냐고?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아빠는 그분들이 “우리는 노예가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었다고 생각해. 주는 대로 받고, 시키면 따르고, 자르면 양순히 잘려서 집으로 돌아가는 노예가 아니라고 말이지. 휘청거리면서 사다리를 내려와 또다시 지상의 거친 파도에 몸을 맡겨야 할 노동자에게 아빠는 못 부르는 노래나마 불러주고 싶구나. “잃었던 생명 찾았고 광명을 얻었네.”



- 김형민  SBS CNBC 프로듀서 -



<출처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