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그리움의 계절
진실의길 정운현 칼럼
- 2015년 10월 5일 -
창밖의 가을바람 소슬하고 들녘의 이파리들은 시들어만 갑니다. 청춘의 날은 가고 지난 시절에 대한 그리움만 깊어가는 계절, 누군가가 그립고 보고 싶습니다. 근년에 펴낸 졸저 <정(情)이란 무엇인가>의 한 대목을 따와 녹여봅니다. 황진이, 매창, 이옥봉 세 여류시인의 그리움의 정수를 한번 느껴보십시오.
정인(情人)을 그리워하며 이룰 수 없는 사랑을 탄식한 조선조 기생들의 정한(情恨)은 그리움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조선조 최고의 여류시인으로 꼽히는 기생 황진이(黃眞伊, 1516~?)의 그리움은 어떤 ‘그림’이었을까?
상사몽(相思夢) - 꿈속의 그리움
相思相見只憑夢
儂訪歡時歡訪儂
願使遙遙他夜夢
一時同作路中逢
그립고 보고파도 꿈길밖에 만날 길 없으니
내가 님 찾아 나설 때 님도 날 찾아 나서네
원컨대 다른 밤 꿈에 서로 님 찾아 나설 때는
같은 시각에 출발해 중간에서 만날 수 있기를
시기(詩妓) 가운데 황진이가 한글시로 이름을 날렸다면 매창은 한시로 이름을 날렸다고 할 수 있다. 전북 부안 출신의 기생 이매창(李梅窓, 별명 癸娘, 1573~1610)은 18세에 28세 연상의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 1545~1636)을 만나 평생을 정인으로 지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운명적으로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집이 서울이었던 촌은은 매창을 만난 지 2년 만에 다시 서울로 올라가고 말았다. 부안에 홀로 남은 매창은 서울로 떠난 촌은을 정인으로 두고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나 정을 쌓은 후 재회하기까지 무려 15년이 걸렸다. 이팔청춘에 만났던 매창은 어느새 삼십을 훌쩍 넘기고 말았다.
금환(金環) - 금가락지
相思都在不言裏
一夜心懷鬢半絲
欲知是妾相思苦
須試金環減舊圍
차마 말은 못했어도 너무도 그리워
하룻밤 맘고생에 귀밑머리 다 희었네
제 맘고생이 어떤지 알고 싶으시다면
헐거워진 이 금가락지 좀 보시구려
그리움에 지친 오랜 세월은 몸도 마음도 상하게 한다. 맘고생이 얼마나 심했으면 귀밑머리가 다 희어지고 딱 맞던 반지가 헐거워졌다고 했겠는가. 정인을 그리다 맘고생을 한 나머지 그 피폐해진 육신을 이보다도 더 애절하게 빗댈 수 있을까.
황진이, 매창 등 기생 이외에도 조선조에는 뛰어난 여류시인이 많았다. 그들 중 둘만 꼽으라면 허난설헌과 이옥봉(李玉峰, 1550~?)을 들 수 있다. 이옥봉, 그녀의 그리움은 또 어떤 모습일까?
몽혼(夢魂) - 꿈속의 사랑
近來安否問如何
月到紗窓妾恨多
若使夢魂行有跡
門前石路半成沙
[진실의길. 기고 글&기사제보 : dolce42@naver.com]
<출처 :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table=wh_jung&uid=106>
'시사·사회-생각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이철희 - 박근혜 대통령, 또 선거의 여왕일까? (0) | 2015.10.07 |
---|---|
<칼럼> 대통령의 거짓말에 농락당하는 유권자들… (0) | 2015.10.06 |
<칼럼> 이덕일 - 망향(望鄕) (0) | 2015.10.04 |
<칼럼> 교과서가 도대체 무엇이기에…? (0) | 2015.10.03 |
[김어준의 파파이스#68] 김무성, 심상정, F35, 세월호 CCTV (0) | 201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