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학력=인격’이라고 믿으세요?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6년 2월 25일 -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들은 배운다.
교사는 모든 것을 알고 학생들은 아무것도 모른다.
교사는 생각의 주체이고 학생들은 생각의 대상이다.
교사들은 말하고 학생들은 얌전히 듣는다.
교사는 훈련을 시키고 학생들은 훈령을 받는다.‘
파울루 프레이리가 쓴 페다고지에 나오는 ‘은행저금식 교육이 낳는 태도와 습관’ 중 일부다.
‘교사=가르침의 주체’요, ‘학생=배움의 주체’…?
프레이리의 표현대로 교사란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교사가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것은 무엇일까?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쓴 정은균선생님은 교사란 ‘끝없이 가르치면서도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가 이런 표현을 한 이유는 제도의 틀 안에서 교과서를 전달할 뿐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은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교사들은 학자들이 만들어 준 교과서를 교육과정이라는 틀 속에서 ‘교사용 지도서’를 통해 전달할 뿐 자신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것은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는다. 그는 교사란 ‘교과서에 담긴 내용을 전달해 주는 사람’, ‘지식의 중계자’나 ‘교과서 저자의 앞잡이’가 아니라 학생들과 끊임없이 만나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는 사람. 그러면서도 끊임없는 가르치는 사람을 교육자라고 할 수 있는가? 조너선 코졸은 ‘학생의 기억에 가장 오래 남는 수업은 공책에 필기한 내용도 아니고, 교과서에 인쇄된 궁색한 문장도 아닌 수업시간에 교사들의 눈빛에서 내뿜는 메세지’라고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교육이란 ‘아이들을 순응하고 복종하는 기계’로 만들기 위해서... 은행저금식 습관을 체화시키는 것'은 교육이 아니라 순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교사가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해 주는 것이 교육이라는 선입견을 참다운 의미의 교육이 아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앞으로 살아갈 세상에 필요한 것이 것을 안내해 주지 못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해 더 많은 것을 암기시켜 저축한 지식량으로 차별화하는 것이 어떻게 교육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학부모들은 아이들이 일정 연령이 되면 학교에 보내고 학교에서 가르쳐 주는 것만 열심히 배우면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라는 믿고 있다. 학부모들이 이런 확신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교와 정부를 믿기 때문에…? 그렇다면 학교는 부모가 원하는 그런 교육을 하고 있을까? 부모들은 현재 학교에서 아이들이 배우는 내용이며 교육과정을 분석해 이런 교육을 받으면 사랑하는 내 자식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일까?
부끄럽게도 지금 학교가 길러내겠다는 인간상은 헌법이나 교육법이 길러내겠다는 목표와는 거리가 멀다. 교육목표가 지향하는 인간상을 길러내고 있다면 오늘날 우리사회가 이렇게 병들고 타락한 사회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학교만 보내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는 부모들은 학교가 아이들의 삶과 유리되어 있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혹시 교육을 경쟁에서 이겨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학벌(학력)과 인격은 비례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판단이 맞는 것일까? 몇 년 전 서울시교육감이 자율형사립고 재지정을 놓고 학부모들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을 때의 일이다.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자율형사립고를 폐지하겠다는 서울시의 방침에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재지정을 촉구하는 학부모이 들고 있는 피켓에는 ‘송원고 학생들은 인성이 귀족이다’라는 글을 보고 실소를 했던 일이 있다. 송원고 학부모들은 ‘학력=인격’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아니 송원고 학부모들뿐만 아니다. 선생님들조차도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정확하게 말하면 시험 성적이 좋은 학생) 인격도 좋다는 믿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런 신념이 옳은 것일까? 우리부모들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자마자 성적 타령이다. 일 학년에 입학시키기 바쁘게 받아 오는 받아쓰기 점수부터 100점만 받으면…그렇게 서서히 경쟁에 매몰되고 성적지상주의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점수를 위해 개성도 꿈도 팽개치고 ‘길들이는 교육’에 집단 마취되고 있는 것이다.
진부한 얘기지만 원론에서 다시 보자. 교육이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라고 풀이한다. 피교육자가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이 가진 지식, 기술, 기능, 가치관 등을 대상자에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교육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기술, 기능도 필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가치관이다. 그런데 학교는 가치관 교육을 하고 있을까? 순종하도록 길들이는 교육에는 개성이나 가치관이란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
‘착하기만 한 사람, 순종하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은 자본의 논리, 권력의 논리를 체화시키는 이데올로기다. 일제 강점기시대에 일본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내겠다는 인간상이 그랬듯이 불의한 권력이 필요로 하는 사람은 시비를 가릴 줄 알고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지금까지 학부모들은 ‘좋은 학교에 들어 가 졸업한 뒤 좋은 일자리를 얻어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살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는… 게 교육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것이다.
‘학력=인격’은 틀린 말이다. 학력이란 ‘학교를 다닌 경력이요, 교육을 통하여 얻은 지식이나 기술 따위의 능력’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인격이란 ‘선악을 판단하고, 자유롭게 의지를 결정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행위를 하는 주체’다. 고로 학력이 높다고 반드시 인격적으로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졸업 후 좋은 일자리 =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 또한 교육의 본질적 책무가 아니다. 학부모들이 교육을 ‘학력=인격’이라고 믿는 신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학교가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없을 것이다.
<출처 : http://www.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icat=&table=yt_kim&uid=294>
'시사·사회-생각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배워야 할 것들… (0) | 2016.02.28 |
---|---|
<칼럼> “공포 마케팅” 이 노리는 것이 무엇인가 (0) | 2016.02.28 |
NPR,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박근혜 정권 비난하는 ‘유령시위’ 보도 (0) | 2016.02.27 |
LA 타임스 ‘국정원 권한 확장 위한 테러방지법 안된다’ 주장 보도 (0) | 2016.02.27 |
AP통신, 한국 정부가 취할 선택지 제시 (0) | 2016.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