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생각해보기

미국의 소리 ‘한국 정부 일본에 다시 항복’

irene777 2016. 3. 25. 15:17



미국의 소리 ‘한국 정부 일본에 다시 항복’


- 정상추 / 뉴스프로  2016년 3월 25일 -




미국의 소리 ‘한국 정부 일본에 다시 항복’


- 이용수 할머니 말 인용 보도, ‘위안부’ 합의 재조명

-“왜 우리 정부가 일본과 함께 우리를 두 번 세 번 죽이려 하는가?”


일본군 강제동원 성노예인 ‘위안부’ 문제가 해결 됐다고 믿는 것은 한국의 박근혜 정부와 일본 뿐인 것 같다. 일본의 아베와 박근혜가 합의한 ‘위안부’ 문제의 불가역적이고 최종적인 해결에 이르렀다고 생각한 것은 그들만의 생각이었음이 점점 더 드러나고 있다.


이는 두 정부의 합의 후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대한민국 국민들의 격렬한 반대가 지속되고 전 세계 각국의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들이 줄을 잇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한일 합의를 높이 평가한 반기문 총장의 유엔에서 자이드 후세인 유엔 인권고등판무관마저 이 합의를 비판하고 나서는 등 이번 합의에 대한 지구촌의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미국 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운영하는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이후 VOA)’ 방송이 22일 한일 합의 후 ‘위안부’ 문제의 진행 상황에 대해 상세하게 보도하고 나섰다.


‘South Korea Still Waiting for Japan’s ‘Comfort Women’ Settlement - 여전히 일본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기다리는 한국‘이라는 제목의 이 기사에서 VOA는 한일 합의에 대한 생존 ‘위안부’ 할머니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해 눈길을 끌었다.


VOA는 2차 세계대전과 일본의 아시아 식민지배 기간 중 일본군에 의한 강제 매춘에 동원된 여성은 태평양 지역에서 2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생존 위안부들이 ‘아무런 동의도 없이 자신들을 대신해 이번 합의를 결정한 것에 대해 일본 총리와 박근혜 대통령 모두를 거리낌없이 비판했다’고 전했다.


기사는 ‘한국 정부가 일본에 다시 항복했다’, “왜 우리 정부가 일본과 함께 우리를 두 번 세 번 죽이려 하는가?”는 생존 ‘위안부’ 할머니인 이용수 할머니의 분노의 목소리를 가감없이 보도했다.


한일 정부 간의 합의, 소녀상 논란, ‘위안부’들의 반대, 사라진 책임 등 4 부분으로 구성된 이 기사는 기사 말미에 ‘위안부’들의 불만에 대해 “궁극적으로, 피해자들만이 진정한 보상을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이 합의를 비판한 자이드 후세인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의 발언을 소개했다.


‘위안부’ 합의를 통해 그 어떤 책임도 인정하지 않고 피해가려는 일본 정부의 얄팍한 꼼수와 이를 합의해 준 박근혜 정부의 소망과는 달리 한일 간의 ‘위안부’ 합의는 국제사회로부터 더욱 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가는 형국이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VOA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감수: Elizabeth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RwHfve




South Korea Still Waiting for Japan’s ‘Comfort Women’ Settlement

여전히 일본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기다리는 한국


Brian Padden

March 22, 2016 4:16 AM




▲ FILE – Kim Gun-ja, 89, right, former comfort woman who was forced to serve for the 

  Japanese troops as a sexual slave during World War II, passes by other comfort woman

Yi Ok-seon, 88, left, and Kim Wei-han, 86, at the House of Sharing, a nursing home.


FILE – 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군에 의해 성노예를 강요 받은 전 ‘위안부’인 

김군자(89세, 사진 오른쪽)씨가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나눔의 집’에서 다른

 ‘위안부’인 이옥선(88세, 사진 왼쪽)씨와 김외한(86세)씨 앞을 지나가고 있다.



SEOUL- South Korea and Japan held talks Tuesday to resolve the stalled implementation of last year’s agreement to settle their decades-long dispute over Tokyo’s wartime sexual enslavement of Korean women.


한국과 일본은 지난해 수십 년 간 지속돼온 일본 전쟁 기간 동안의 한국인 여성 성노예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합의가 있은 후 지체됐던 이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화요일 회담을 가졌다.


The foreign ministers from Japan and South Korea reached a breakthrough settlement in late December that included a written apology from Prime Minister Shinzo Abe and a pledge by Tokyo to provide $8.9 million for a foundation to be established by Seoul to support the surviving victims, known as “comfort women.”


한국과 일본의 외교부 장관은 지난 12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서면 사과와 이른바 ‘위안부’로 알려진 생존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이 설립하는 재단에 일본이 10억엔(890만 달러)을 출연하기로 한 약속이 포함된 획기적인 합의에 도달한 바 있다.


The settlement relieves Japan of any further responsibility and liability for all past wartime grievances.


이 합의로 일본은 이제 과거 전쟁 중의 모든 만행에 대한 책임과 의무로부터 벗어났다.



The agreement

합의


However the money has yet to be allocated and Tuesday’s meeting is the first time since the agreement that the two foreign ministries have gathered to work out any remaining differences.


그러나 출연금은 아직 지급되지 않았고, 화요일 회담은 남아 있는 이견을 조율하기 위해 작년 합의 이후 처음으로 양국 외교부가 만난 자리였다.


“We are steadily working on prepa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by closely discussing wit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is the supporting institution for comfort women,” said South Korean Foreign Ministry spokesman Cho June-hyuck.


조준혁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위안부’ 지원 기관인 여성가족부와 긴밀히 협의해 재단 설립을 착실히 준비하고 있는 중이다”고 밝혔다.



Statue controversy

소녀상 논란


In the settlement, Tokyo also asked that a “comfort woman” statue located across from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be removed. The controversial statue was placed at the site where “comfort women” supporters have held a weekly protest rally for years demanding an official Japanese apology and restitution.


합의에서 일본은 또한 서울의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위치한 ‘위안부’ 소녀상을 철거할 것을 요구했다. 논란의 조각상은 ‘위안부’를 돕는 사람들이 일본의 공식적인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며 여러 해 동안 매주 항의 시위를 이어온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The funding delay has led to speculation that Tokyo is refusing to comply until Seoul removes the statue, even though both sides have denied it.


그 자금의 지연은 비록 양측이 부인하고는 있지만 일본은 한국이 소녀상을 철거하기 전까지 이행을 거부하고 있다는 추측을 일으켰다.


“In order to make us accept their denial, I think Japan should provide one billion yen to South Korea immediately so the foundation can be established, while still having the statue,” said Hosaka Yuji, a political science professor at Sejong University in Seoul who focuses on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한일 관계를 연구하는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정치학 교수는 “우리가 그들의 부인을 받아들일 수 있으려면, 조각상이 여전히 있는 상태에서 재단이 설립될 수 있도록 일본이 한국에 즉각 10억 엔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FILE - Students hold portraits of deceased former South Korean "comfort women" during a weekly 

anti-Japan rally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South Korea, Dec. 30, 2015.


파일 - 2015년 12월 30일, 학생들이 한국 서울에 있는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열리는 

반일집회에서 고인이 된 전 한국 ‘위안부’들의 사진을 들고 있다.



Comfort women opposition

‘위안부’들의 반대


Another reason for the delay in payment is that some of the surviving comfort women have vehemently and very publicly opposed the deal.


금액 지불 연기의 또 다른 이유는 생존 ‘위안부’ 일부가 격렬하게 그리고 매우 공공연하게 합의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It is estimated that over 200,000 women throughout the Pacific region were forced into prostitution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both WWII and Japan’s colonization of Asia.


2차 세계대전과 일본의 아시아 식민지배 기간 중 일본군에 의한 강제 매춘에 동원된 여성은 태평양 지역에서 2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In South Korea, only 44 survivors remain of the 238 women who came forward, and their average age is 89.


한국에는 ‘위안부’였다고 밝힌 238명 중 44명만이 생존해 있으며, 그들의 평균 나이는 89세다.


Some of them have been outspoken critics of both the Japanese prime minister and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for negotiating this deal on their behalf, but without their consent.


그들 중 몇 명은 아무런 동의도 없이 자신들을 대신해 이번 합의를 결정한 것에 대해 일본 총리와 박근혜 대통령 모두를 거리낌없이 비판했다.


After the deal was announced, Lee Yong-soo spoke at a protest rally across from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and condemned the agreement, say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again capitulating to Japan.


한일 합의가 발표된 이후 이용수 씨는 서울의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항의 집회에서 한국 정부가 일본에 다시 항복했다고 말하며 그 합의를 비난했다.


“Why is our government trying to kill us twice and three times with Japan?” she said.


“왜 우리 정부가 일본과 함께 우리를 두 번 세 번 죽이려 하는가?”라고 이용수 씨는 말했다.



Missing accountability

사라진 책임


Critics of the negotiated agreement say it lacks sincerity and official accountability.


결정된 합의에 대해 비평가들은 진실성과 공적 책임이 결여되어 있다고 말한다.


Abe’s apology offered remorse for “immeasurable and painful experiences” but did not acknowledge the extent of official Japanese military involvement in the forced prostitution program, nor detailed the specific atrocitie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아베의 사과는 “헤아릴 수 없고 고통스러운 경험”에 대한 후회를 표시했으나, 강제 매춘 계획에 대한 일본군의 공식적 개입의 정도를 인정하거나 일본군에 의해 자행된 특정한 잔혹 행위를 상술하지도 않았다.


And the agreement allows Japan to call the $8.9 million payment a contribution or donation, versus official compensation. That distinction, opponents say, reduces Japan’s legal responsibility for it past misconduct.


그리고 이 합의는 일본이 10억엔을 공식적 배상이 아닌 출연 또는 기부로 부를 수 있게 해준다. 반대자들은 그 차이가 과거 일본의 불법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축소한다고 말한다.


Other “comfort women” have publicly chastised South Korean officials who tried to explain President Park’s support for reaching the compromised settlement before the elderly victims pass away.


다른 ‘위안부’들은 고령의 희생자들이 사망하기 전에 협상이 타결되도록 하는 박 대통령의 지원을 설명하려 노력한 한국 관료들을 공개적으로 꾸짖었다.


Also leaders from a group representing the victims,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recently met with the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또한, 피해자들을 대변하는 그룹 정대협의 대표들이 최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났다.


Ban Ki-moon, who is Korean, expressed sympathy for the victims, but he praised th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en it was announced in December of last year.


한국인인 반기문 총장은 피해자들에 대한 동정을 표현했지만, 그는 작년 12월에 한국과 일본 간의 합의가 발표되었을 때 이를 높이 평가한 바 있다.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Zeid Hussein, however, has criticized the agreement, saying of the comfort women’s grievances that, “ultimately, only they can judge whether they have received genuine redress.”


자이드 후세인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은 그러나 ‘위안부’들의 불만에 대해 “궁극적으로, 피해자들만이 진정한 보상을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하며 이 합의를 비판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출처 : https://thenewspro.org/?p=18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