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생각해보기

<칼럼> 퇴계-고봉의 향기로운 ‘편지 교제’

irene777 2015. 2. 25. 17:17



퇴계-고봉의 향기로운 ‘편지 교제’

시대를 위해 더욱 자신을 소중히 여기십시오


진실의길  정운현 칼럼


- 2015년 2월 23일 -




향기로운 꽃에서만 향기가 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사람도 향기로운 사람이 있고, 더러는 예술작품에서도 향기가 납니다. 심지어 사람간의 교제에서도 향기가 나기도 합니다. 그런 향기로운 교제로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간의 친교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향기롭다 못해 기품과 고결함마저 든다고 하겠습니다. 손편지가 사라진 요즘 세태에서 대학자요, 선비인 두 사람의 정감어린 편지는 더욱 귀하다고 하겠습니다.  


두 사람이 처음 알게 된 것은 1558년(명종 13년). 당시 퇴계는 58세, 고봉은 32세로 나이차는 무려 26세였습니다. 당시로선 할아버지와 손자의 관계인데, 비단 나이 차이만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두 사람의 벼슬 지위도 차이가 컸습니다. 그해 10월 과거에 급제한 고봉은 종9품의 말단 벼슬아치였으나 퇴계는 성균관 대사성(정3품)을 마치고 그해 12월 공조참판이 되었습니다. 요즘으로 치면 고봉은 9급 공무원, 퇴계는 건교부 차관에 해당합니다. 이런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격의 없이 토론하고 또 친교(親交)하였는데, 이런 사이를 흔히 ‘망년지우(忘年之友)’라고 합니다.


두 사람 간의 편지 교류는 1558년 12월, 퇴계가 첫 편지를 보내면서 시작됐는데, 퇴계가 타계(1570년)할 때까지 13년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됐습니다. 무려 10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다행히도 거의 온전히 전해오고 있는 것도 놀랍습니다. 두 사람은 학자로서, 당대의 지식인으로서, 또 조정의 벼슬아치로서 서로에 대해 지적하고 토론하면서 끝없이 대화를 이어갔습니다. 말하자면 ‘영혼의 교류’를 한 셈인데요, 서로를 대하는 자세가 스승이나 연인 대하듯 깍듯하면서도 인정스럽기 그지없습니다. 퇴계가 타계하자 고봉은 퇴계의 신위(神位)를 설치하고 통곡하였다고 합니다.


만남 초창기 두 사람이 나눈 편지 각 한 통씩을 소개합니다.




▲ 퇴계 이황                    ▲ 고봉 기대승



시대를 위해 더욱 자신을 소중히 여기십시오



기정자(기대승)의 안부를 묻습니다. 


헤어진 뒤로 한동안 소식을 듣지 못했는데 어느덧 해가 바뀌었습니다. 어제 박화숙을 만나 다행히 그대가 부탁한 편지를 받았습니다. 애타게 기다리던 마음에 매우 위안이 되었습니다. 영예롭게 돌아온 뒤로 몸가짐과 마음가짐이 나날이 더욱 귀하고 풍성해졌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겉으로 처지가 바뀔수록 안으로 더욱 반성하고 보존함은 모두가 덕에 다가가고 어짊[仁]을 익히는 경지이니, 그 즐거움에 끝이 있겠습니까? 


저는 언제나 갈 곳을 몰라서 부딪히는 일마다 잘못되었고, 병은 깊어져 고질이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임금의 은혜는 거듭 더해졌습니다. 정성을 다해 벼슬에서 벗어나기를 빌었습니다만 모두 쓸데없었습니다. 공조(工曹)가 비록 일이 없다고는 하지만 어찌 제가 병을 다스리는 곳이겠습니까? 그래서 물러날 것을 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처럼 소득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주변에서는 오히려 물러나지 않는 것이 옳다고 여깁니다. 처세의 어려움이 이에 이르렀으니 어찌하겠습니까? 


지난번에 비록 만나고 싶었던 바람을 이루기는 했어도, 한 순간의 꿈과 같이 짧아서 의견을 깊이 물을 겨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오히려 기쁘게 들어맞는 곳이 있었습니다. 또 선비들 사이에서 그대가 논한 사단칠정(四端七情)의 설을 전해 들었습니다. 저는 이에 대해 스스로 전에 말한 것이 온당하지 못함을 근심했습니다만, 그대의 논박을 듣고 나서 더욱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다음과 같이 고쳐 보았습니다. “사단의 발현은 순수한 이(理)인 까닭에 선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의 발현은 기(氣)와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 이처럼 하면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왕구령에게 보내는 편지[與王龜齡書]’ 가운데 ‘고인(古人)’이 잘못 합해져 ‘극(克)’ 자가 되었다는 말씀을 그대에게서 듣고, 지난날의 의심이 곧 풀렸습니다. 


처음 만나면서부터 견문이 좁은 제가 박식한 그대에게서 도움 받은 것이 많았습니다. 하물며 서로 친하게 지낸다면 도움됨이 어찌 이루 말할 수 있겠습니까? 헤아리기 어려운 것은 한 사람은 남쪽에 있고 한 사람은 북쪽에 있어, 이것이 더러는 제비와 기러기가 오고가는 것처럼 어긋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달력 한 부를 보내드립니다. 이웃들의 요구에 따를 수 있을 것입니다. 드리고 싶은 말씀이 참 많습니다만 멀리 보낼 글이니 줄이겠습니다. 오직 이 시대를 위해 더욱 자신을 소중히 여기십시오. 


삼가 안부를 묻습니다. 기미(己未)년(1599) 정월 5일, 황(이황)은 머리를 숙입니다.




나이로나 당시 조정에서는 직위로 보나 ‘하늘같은 선배’임에도 퇴계는 고봉에 대해 조금도 허투루 대하지 않았습니다. 선비의 몸가짐, 벼슬아치의 도리에 대해 소견을 피력하고는 고봉의 ‘사단칠정론’에 대해 솔직하게 인정하였습니다. 그리고는 마치 선생이 낸 숙제를 해서 바치는 학생처럼 자신의 생각을 고친 것까지 드러내보였습니다. 당대의 대학자 퇴계의 그릇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하겠습니다. 자고로 학자란 이처럼 열린, 겸허한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입니다.


고봉은 퇴계가 이 편지를 쓴지 40일 만인 2월 16일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로부터 20일 뒤인 3월 5일자로 답장을 씁니다. 답신에서는 마치 멀리 떨어진 연인을 흠모하기라도 하듯 한껏 그리운 마음을 담았습니다. 고봉은 편지에서 과거 급제 직후 자신이 처한 상황을 소개하면서 벼슬이 학문에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퇴계를 가까이서 모시고 배울 수 없음을 못내 아쉬워하였습니다. 사단칠정론에 대해서는 나름의 견해를 기탄없이 피력하기도 하구요.





덕을 그리워하는 마음



퇴계 선생께 올립니다.


삼가 여쭙습니다. 건강은 어떠신지요? 우르르는 마음 끝이 없습니다. 외람되게도 선생님께서 두터이 생각해 주심에 힘입어 저는 겨우 스스로를 지탱해 보전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6일에, 선생님께서 정월 초닷새에 쓰신 편지 한 폭과 달력 한 부를 받았습니다. 그것을 반복해서 음미하니 감동되고 위안됨이 많았습니다. 어리석고 아는 것이 없는 저는 바닷가에 살면서 멀리서나마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마음속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지난해 다행히 선생님을 찾아 뵐 수 있었습니다. 삼가 가르침을 가까이에서 받고 보니 깨닫는 것이 많아 황홀하게 심취했고, 그래서 머물러서 모시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병든 몸이 심한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아울러 형편도 여의치 못해, 마침내 떠날 계획을 하고 말머리를 남쪽으로 돌렸습니다. 비록 고향에 대한 걱정은 조금 풀렸지만 덕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날이 갈수록 쌓이고, 생각은 늘 선생님께 달려가지만 직접 못 가는 것이 원망스럽기도 하며, 이렇게 멀어져 있는 처지가 아득하기도 하니 어쩌면 좋겠습니까? 더구나 과거에 급제한 뒤 접대하는 일이 자못 괴롭고 번거로운데 병까지 들어서, 정신은 혼미하고 몸은 지쳐, 전에 배운 것은 아득하고 새로 배운 것은 거칩니다. 그래서 도학에 정진하고자 하는 평소의 뜻을 아주 저버리게 될까 매우 두렵고, 옛사람에게 미치기 어려움을 깊이 한탄합니다. 게다가 기질이 박약해 굳게 서지 못하고, 세속의 물결에 휩쓸려 헤어나지 못해, 평소 옛것을 사모해 도를 횅하고자 하는 마음이 세속을 좇고 이익을 따르는 자리에 놓이게 되었으니 통탄스럽습니다. 그런데도 지난번에 외람되이 속마음을 보여주시며 노력하라고 깨우쳐주신 선생님의 은혜를 입었으니, 일찍이 저를 더불어 이야기할 만한 상대로 여기신 것인지요? 송구하기 그지없습니다. 


사단칠정론, 제가 평생 동안 깊이 의심했던 것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견해가 오히려 분명하지 못한데 어찌 감히 거짓된 주장을 펴겠습니까? 게다가 선생님께서 고치신 설을 연구해 보면 미심쩍은 것이 확 풀리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제 생각에는, 먼저 이기(理氣)에 대해서 분명하게 안 뒤에야 마음[心]·성(性)·정(情)의 뜻이 모두 자리를 잡게 되고 사단칠정을 쉽게 분별할 수 잇을 듯합니다. 후대 여러 학자들의 이론이 자세하고 분명하지만 자사(子思), 맹자(孟子), 정자(程子), 주자(朱子)의 말씀으로 견주면 차이가 있는 듯하니, 그것은 이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인 듯합니다. 


어리석은 견해를 진술해 선생님께 바른 뜻을 구하고 싶었습니다만 오랫동안 바빠서 다시 살필 겨를이 없었습니다. 또 생각을 글로 쓰면 잘못될까 걱정스러워 감히 쓰지 못했습니다. 봄여름 사이에 서울로 가기로 정했습니다. 뵙고서 가르침 받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마침 심기가 고단해 허둥대다 보니, 자획이 단정하지 못하고 말씨가 고르지 않습니다. 


황공합니다. 살펴 주십시오. 삼가 여러 번 절하며 답을 올립니다. 기미 3월 5일, 후학 고봉 기대승이 올립니다.





<춮처 :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1&table=wh_jung&uid=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