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李비어찬가’ 부르는 충청권 언론, 부끄럽지 않나? ‘李비어찬가’ 부르는 충청권 언론, 부끄럽지 않나?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18일 - ‘이완구 총리 인준… 충청지역민들 대대적인 환영 물결’ ‘충청인 이완구, '일인지하 만인지상'에 올라’ ‘‘6년만의 충청총리’ 이완구 통합 리더십 국정쇄신기대’ ‘이완구 총리 내정, 6..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24
<칼럼> 나쁜 짓 많이 한 사람이 왜 출세하고 존경받는가? 나쁜 짓 많이 한 사람이 왜 출세하고 존경받는가?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13일 - “언론인들, 내가 대학 총장도 만들어주고…. 나, 언론인, 40년 된 인연으로 이렇게 (진짜 형제처럼) 산다” “언론인 대 공직자 관계가 아니라 서로 인간적으로 친하게 되니까…내 친구도 대학 만..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20
<칼럼> 증세 안 한다는 대통령, 국민을 사랑해서일까? 증세 안 한다는 대통령, 국민을 사랑해서일까?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12일 - ▲ 이미지 출처 : 클리앙 ‘증세 없는 복지’ 논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9일, “경제 활성화가 되면 세수가 자연히 더 많이 걷히게 되는데,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모두가 최..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20
<칼럼> 멘붕시대, 욕망의 노예가 된 사람들... 멘붕시대, 욕망의 노예가 된 사람들...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11일 - 먹거리 얘기가 나왔으니 하는 말이지만 좀 더 맛있는 것을 먹고 즐기기 위한 먹거리 문화는 돈벌이에 눈이 어두운 장사꾼들에게 더할 나위없는 호재를 제공한다. 없는 맛도 만드는 식품 첨가물.. 그 마술의 현.. 취미, 교양, 상식 2015.02.20
<칼럼> ‘증세없는 복지’…? 복지가 말장난인가? ‘증세없는 복지’…? 복지가 말장난인가?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9일 - 복지와 성장,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조세제도… 의 개혁방향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쟁이 뜨겁다. 박근혜대통령의 줄푸세공약이 취임 3년째인 인제 와서야 도마 위에 올라간 셈이다. 세금을 줄인다는 ..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10
<칼럼> ‘인성교육 진흥법’, 이제 교육 쇼 그만하자 ‘인성교육 진흥법’, 이제 교육 쇼 그만하자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2월 6일 - ▲ 이미지출처 : 디지털 타임즈 “나는 나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나는 내가 꽤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부모님께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 올해부터 초·중·고교생들에게 시행..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07
<칼럼> 증세없는 복지논쟁, 법인세 증세가 답이다 증세없는 복지논쟁, 법인세 증세가 답이다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1월 29일 - 재벌기업에는 세금을 줄이고 근로소득자에게는 세금을 늘리고...박근혜정부의 줄푸세 정책이다. 처음 세금을 줄인다고 했을 때 쌍수로 환영한 사람들은 서민들이었다. 그런데 그 감세의 내용을 알고 보..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2.03
<칼럼> 어린이집 아동 폭행, 공교육화가 답이다 어린이집 아동 폭행, 공교육화가 답이다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1월 26일 - 인천 연수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김치반찬을 남긴 어린이를 보육교사가 가격해 내동댕이쳐지는 동영상이 공개되자 온나라가 들끓고 있다. “해도 해도 너무 한다”, “어떻게 그 어린 것을… 교사라는 사람..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1.28
<칼럼> 순진한 아이들 바보로 만드는 교육은 인제 그만! 순진한 아이들 바보로 만드는 교육은 인제 그만! 교육의 오만은 멀쩡한 아이에게 낙인을 찍어 평생을 문제아로 만든다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1월 23일 - ▲ 이미지 출처 : 래디앙 「우열반을 편성해 어려운 환경 아이들의 자존심을 짓밟으면서 미래의 승자들을 따로 키우는 것은, ..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1.24
<칼럼> 대한민국과 프랑스 교육, 달라도 너무 다르다 대한민국과 프랑스 교육, 달라도 너무 다르다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1월 22일 - 타인을 심판할 수 있는가?(2000년) 과거에 벗어날 수 있는가(2006년) 모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가?(1993년) 3개의 질문 중 하나를 골라 4시간에 걸쳐 답을 작성해야 하는 수험생 철학시험뿐만 아니라 철학..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