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메르스 공포, 지독한 불통이 화 키운다 메르스 공포, 지독한 불통이 화 키운다 정부의 ‘쉬쉬’ 첩보작전 방불, 불통이 화 키운다 진실의길 육근성 칼럼 - 2015년 6월 5일 - 메르스 확진환자 수가크게 늘었다. 3차 감염 사망자도 나왔다. 세계 최초다. 국민들은 우려의 수준을 넘어 공포를 느낀다. 하지만 어떤 상황인지 제대로 알..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5
<칼럼> 정부도 언론도 특정 정치인 죽이기 정부도 언론도 특정 정치인 죽이기 국민건강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이 언론도 정부도 할 일 진실의길 임두만 칼럼 - 2015년 6월 5일 - ▲ 사진출처 : 뉴시스 박원순의 강수가 회심의 한 수든 결정적 패착이든 관계가 없다. 일단 모든 정보를 숨기기만 하고, 병원공개가 무슨 큰일 날 것인 양 ..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5
<칼럼> 메르스 때문에 품절된 ‘N95마스크’ 구매해야 하나? 메르스 때문에 품절된 ‘N95마스크’ 구매해야 하나? 메르스 때문에 너도나도 착용하는 마스크. 올바르게 알고 구매하나 진실의길 임병도 칼럼 - 2015년 6월 5일 - 메르스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지하철이나 거리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과거 사스나 신종플..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5
<칼럼>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와 어떻게 다른가?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와 어떻게 다른가? 선행학습을 포함한 사교육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진실의길 김용택 칼럼 - 2015년 6월 5일 - 진보교육감시대…! 전국 13개 시·도의 교육감이 전교조출신이거나 전교조성향의 교육감이 당선된 현실을 두고 사람들은 이렇게 부른다. 학부모들의..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5
<칼럼> 유승민, 박근혜의 독선 독재와 맞설 것인가? 유승민, 박근혜의 독선 독재와 맞설 것인가? 국회법 개정안의 대통령 거부권을 두고 벌어진 권력암투 내막 진실의길 임두만 칼럼 - 2015년 6월 4일 - 메르스 사태가 끝을 모르고 확산일로인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모양이다. 이 법이 시행된다면 입..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4
<칼럼> 메르스 괴담? 박근혜가 웃고 있을 때 국민은 운다 메르스 괴담? 박근혜가 웃고 있을 때 국민은 운다 별거 아니다? 정부는 이미 메르스 전국 확산 모의 훈련을 했다 진실의길 임병도 칼럼 - 2015년 6월 3일 - 메르스 확진자가 하루 만에 5명이나 늘었습니다. 6월 3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메르스 확진자는 30명으로 (2명 사망) 전날 25명에서 5명..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3
<칼럼> 박근혜표 ‘창조경제혁신센터’ 벌써 애물단지 박근혜표 ‘창조경제혁신센터’ 벌써 애물단지 대통령에 의한 대통령을 위한 창조경제혁신센터 진실의길 육근성 칼럼 - 2015년 6월 3일 - 박 대통령이 꼭 챙기는 게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에는 만사를 제쳐놓고 참석한다. 지난 2일에도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에 참석하기 ..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3
<칼럼> ‘메르스’ 대통령 심기보다 국민 안위 급하다 ‘메르스’ 대통령 심기보다 국민 안위 급하다 국회법 개정안 대통령 거부권 부추기는 친박계 틀렸다 진실의길 임두만 칼럼 - 2015년 6월 3일 - 메르스 공포가 전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있는데 새누리당 국회의원들은 관심도 없는 것 같다. 이 급박한 와중에 국회에서 제정한 법률 하나 가지..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3
<칼럼> ‘위안부’ 다 죽기만 기다리는 일본 ‘위안부’ 다 죽기만 기다리는 일본 중국, ‘위안부-일본군 성노예 문서’를 국가급 기록문헌 유산으로 승격 진실의길 정운현 칼럼 - 2015년 6월 3일 - 지난달 25일 일본 유수의 역사학 단체 회원 6900여 명이 일본 정부와 언론을 향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왜곡을 중단하라는 성..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3
박근혜, 메르스(MERS)를 케르스(KERS)로 ① 박근혜, 메르스(MERS)를 케르스(KERS)로 ① - 진실의길 2015년 6월 3일 - ▲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이 1일 오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치료 격리센터가 있는 서울의 한 병원 응급실로 고열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 ⓒ한겨레 2일 오전 현재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사망자가 2명 발생했..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