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 ‘대통령은 메르스 진압할 수 없는 사람’ 유시민 - ‘대통령은 메르스 진압할 수 없는 사람’ - 진실의길 2015년 6월 11일 - ▲ 보건복지부는 10일 삼성서울병원에서 메르스 확진환자가 10명 추가로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삼성서울병원 로비가 9일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겨레> 메르스 확진자 8명 추..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2
청와대 이번에도…“우린 컨트롤타워 아니다” 청와대 이번에도…“우린 컨트롤타워 아니다” - 한겨레신문 2015년 6월 9일 - ▲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방역대응 및 방역지원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마련된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 상황실를 방문하고 있다. 앞줄 오른쪽은 황우여 사회..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1
RFI, 메르스로 한국인 패닉에 빠진 건 정부 불신 탓 RFI, 메르스로 한국인 패닉에 빠진 건 정부 불신 탓 - 정상추 / 뉴스프로 2015년 6월 8일 - RFI, 메르스로 한국인 패닉에 빠진 건 정부 불신 탓 – 바이러스의 빠른 속도에 두려운 국민들, 한산한 거리와 휴교령 – 불투명하고 느린 당국 대처로 평정심 유지 어려워 편집적 반응도 – 세..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1
<칼럼> 朴대통령, 이번엔 ‘아몰랑’으로 안 된다 朴대통령, 이번엔 ‘아몰랑’으로 안 된다 청와대 보좌진들은 빌헬름과 니콜라이를 기억하라 진실의길 임두만 칼럼 - 2015년 6월 10일 - 지금 우리는 메르스와 전쟁을 치르고 있다. 최초의 감염환자가 나타난 5월15일 이후 3주가 넘어서면서 의심환자 1,969명, 확진환자 95명… 사망자 7명, 위..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1
박근혜정권, 1년 전 WHO 권고 무시, 메르스 검역 중단 박근혜정권, 1년 전 WHO 권고 무시, 메르스 검역 중단 - 진실의길 2015년 6월 10일 - ▲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방역대응 및 방역지원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마련된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 상황실를 방문하고 있다. 앞줄 오른쪽은 황우여 사..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1
<칼럼> 서민 - 완벽한 대통령의 한 가지 단점 [서민의 어쩌면] 완벽한 대통령의 한 가지 단점 - 경향 비즈라이프 2015년 6월 9일 - ▲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대한 현 정부의 대응은, 언제나 그랬듯이 미덥지 않았다. 정부의 대응이 완벽해서 첫 번째 감염자 이외에 메르스 환자가 더 나오지 않았다..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1
<칼럼> 박근혜의 메르스 대응, 실패는 예견됐던 일 박근혜의 메르스 대응, 실패는 예견됐던 일 필수 정보까지 통제, 정부 대응은 해외에서도 웃음거리 진실의길 육근성 칼럼 - 2015년 6월 9일 - “개미 한 마리라도 지나치지 않는다는 자세로 철저하게 대응하겠다”며 자신감을 보이던 정부였다. 그런데 뚫렸다. 방역체계에 구멍 천지다. 감..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10
박근혜, 가장 무능한 대통령 박근혜, 가장 무능한 대통령 - 진실의길 2015년 6월 6일 - ▲ 박근혜는 메르스 확진 환자수를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 발언를 삭제했다. ⓒ그래픽 <경향신문> “지난 5월 20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메르스 환자가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15명의 환자가 확인됐습니다...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6
日 산케이 신문, 박근혜 정권 위기대응 능력 질타 日 산케이 신문, 박근혜 정권 위기대응 능력 질타 - 정상추 / 뉴스프로 2015년 6월 5일 - 日 산케이 신문, 박근혜 정권 위기대응 능력 질타 – 박근혜 정권, 메르스 골든 타임 놓쳐 – 국민, 언론에까지 불신 가중되는 상황 상세 타전 – 가토 전 지국장 기소에 대한 앙금, 외신 비판 ..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6
인터프리터, 국정원 미확인 정보 흘리는 행위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 인터프리터 국정원 미확인 정보 흘리는 행위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 - 정상추 / 뉴스프로 2015년 6월 4일 - 인터프리터, 국정원 미확인 정보 흘리는 행위 일삼으며 정치에 개입 – 국회의원들 “정보 누설” 하고, 국정원은 이를 도와 – 간접 비밀 누설 행위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한 신.. 시사·사회-생각해보기 2015.06.05